데이비드 사이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비드 사이먼은 미국의 농구 선수로, 대학 시절 IPFW에서 활약했으며, 2004년 NBA 드래프트 참가를 앞두고 부상으로 인해 드래프트 참가를 철회했다. 이후 불가리아, 러시아, 프랑스 등 유럽 리그에서 활동했으며, 2010년 안양 KGC에 입단하며 KBL에 데뷔했다. KBL에서 여러 차례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으며, 필리핀 PBA, 일본 B.리그에서도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프로농구에 관한 - 함지훈
함지훈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에서 뛰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로, 경복고와 중앙대를 졸업 후 2007년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어 입단, 대학 시절 센터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팀의 우승을 이끌고 MVP를 수상했으며, 프로 입단 후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주장을 맡고 있다. - 한국프로농구에 관한 - 김주성 (농구인)
김주성은 205cm의 신장을 가진 대한민국 전 농구 선수이자 현 원주 DB 프로미 코치로, KBL 최초 1,000블록슛을 기록하며 '블록슛 황제'로 불렸고 리그 MVP, 최우수선수상을 수상, 세 차례 리그 우승에 기여했으며 대한민국 국가대표로도 활약 후 현재 코치로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 미국의 남자 농구 선수 - 마이클 조던
마이클 조던은 1963년 뉴욕에서 태어나 시카고 불스에서 활약하며 NBA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로 평가받으며 6번의 NBA 챔피언십 우승, 5번의 MVP 수상, 10번의 득점왕을 차지했고, 은퇴 후 야구 선수로 활동하거나 샬럿 호네츠의 구단주로 활동하기도 했다. - 미국의 남자 농구 선수 - 코비 브라이언트
코비 브라이언트는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서 20시즌 동안 5회의 NBA 우승을 이룬 미국의 전설적인 프로 농구 선수로, 고등학교 졸업 후 NBA에 직행하여 뛰어난 득점력과 화려한 수상 경력을 쌓았으나 2020년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다. - 1982년 출생 - 지성호
지성호는 1982년생으로 1996년 기차 사고로 왼손과 다리를 잃고 2006년 탈북하여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하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이북5도위원회 함경북도지사를 역임했다. - 1982년 출생 - 이언 소프
이언 소프는 22개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고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수영계의 전설적인 오스트레일리아 경영 선수로, 은퇴 후에는 방송, 사업, 자선 활동을 하며 사회적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데이비드 사이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포지션 | 센터 |
신장 | 6 ft 9 in (206 cm) |
체중 | 260 lb (118 kg) |
출생일 | 1982년 8월 9일 (41세) |
출생지 | 일리노이주 버넌힐스 |
국적 | 미국 |
고등학교 | 애들레이 E. 스티븐슨 고등학교 (링컨셔, 일리노이주) |
대학교 | 포트웨인 (2001–2005) |
드래프트 연도 | 2005년 |
선수 경력 시작 | 2005년 |
프로 경력 | |
2005–2006 | 루코일 아카데믹 |
2006–2007 | Standart |
2007–2008 | JDA 디종 |
2008–2010 | 스트라스부르 IG |
2010–2011 | 안양 KGC |
2011–2012 | 라드니치 크라구예바츠 |
2012–2014 | 아스타나 |
2014–2015 | 원주 동부 프로미 |
2015–2016 | 서울 SK 나이츠 |
2016년 | 트로팡 TNT |
2016–2018 | 안양 KGC |
2018년 | 산시 울브스 |
2018–2022 | 교토 한나리즈 |
2022년 | 고양 캐롯 점퍼스 |
2023년 | 어스 프렌즈 도쿄 Z |
2023년 | 신슈 브레이브 워리어스 |
2024년 | 후쿠이 블로우윈즈 |
수상 경력 | |
아드리아틱 리그 MVP | 2012년 |
아드리아틱 리그 득점왕 | 2012년 |
KBL 우승 | 2017년 |
KBL 올스타 | 3회 (2011, 2016, 2018) |
KBL 수비 퍼스트 팀 | 2017년 |
2. 대학 선수 시절
데이비드 사이먼은 대학 선수 첫 해에 경기당 평균 10.6득점과 5.8리바운드를 기록했다. 그 해 말에 왼쪽 무릎을 다쳐 수술을 받았지만, 다음 시즌을 위해 완전히 회복했다. IPFW에서의 두 번째 시즌을 앞두고 그는 코네티컷 대학교의 에메카 오카포에 이어 전국 2위의 대학 센터로 평가받았다. 그는 "올해의 프리시즌 독립 선수"로 선정되었다. 사이먼은 또한 올 아메리칸 후보이기도 했다. 그는 스포츠 에이전트 없이 2004년 NBA 드래프트에 참가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시카고 사전 드래프트 캠프에서 오른쪽 무릎의 전방 십자 인대 부상으로 찢어져 드래프트 조기 참가 신청을 철회하고 학교로 돌아갔다. 그는 마지막 대학 시즌을 평균 16.6득점과 6.9리바운드로 마쳤다.
연도 | 팀 | 출전 경기 수 | 선발 출전 | 경기당 평균 출전 시간 | 야투 성공률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평균 리바운드 | 경기당 평균 어시스트 | 경기당 평균 스틸 | 경기당 평균 블록 | 경기당 평균 득점 |
---|---|---|---|---|---|---|---|---|---|---|---|---|
2002-03 | IPFW | 30 | 23.1 | .580 | .000 | .651 | 5.8 | .7 | .4 | 1.3 | 10.6 | |
2003-04 | IPFW | 28 | 31.4 | .584 | 1.000 | .648 | 9.8 | 1.6 | .8 | 1.9 | 18.0 | |
2004-05 | IPFW | 25 | 32.1 | .523 | .077 | .633 | 6.9 | 2.0 | .8 | 1.9 | 16.6 | |
통산 | 83 | 28.6 | .560 | .200 | .643 | 7.5 | 1.4 | .7 | 1.7 | 14.9 |
2. 1. 대학 통산 기록
연도 | 팀 | 출전 경기 수 | 선발 출전 | 경기당 평균 출전 시간 | 야투 성공률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평균 리바운드 | 경기당 평균 어시스트 | 경기당 평균 스틸 | 경기당 평균 블록 | 경기당 평균 득점 |
---|---|---|---|---|---|---|---|---|---|---|---|---|
2002-03 | IPFW | 30 | NA | 23.1 | .580 | .000 | .651 | 5.8 | .7 | .4 | 1.3 | 10.6 |
2003-04 | IPFW | 28 | NA | 31.4 | .584 | 1.000 | .648 | 9.8 | 1.6 | .8 | 1.9 | 18.0 |
2004-05 | IPFW | 25 | NA | 32.1 | .523 | .077 | .633 | 6.9 | 2.0 | .8 | 1.9 | 16.6 |
통산 | 83 | NA | 28.6 | .560 | .200 | .643 | 7.5 | 1.4 | .7 | 1.7 | 14.9 |
사이먼은 NBA 서머 리그에서 팀버울브스 선수로, 뉴저지 네츠 미니 캠프에서 활동했다.[4] 2005년 10월 10일, 불가리아의 루코일 아카데믹과 계약을 맺고 ULEB컵에 참가했다.[4] 불가리아 리그에서 경기당 평균 11.4득점과 5.8리바운드를 기록했으며, ULEB 컵에서는 평균 7.6득점과 7.8리바운드를 25분 동안 기록했다.[6]
3. 프로 선수 시절
2006년, 러시아 클럽 스탠다르트 사마르스키 레기온과 계약을 맺고 한 시즌을 보냈다.[7] 러시아 슈퍼 리그 14경기에서 평균 11.1득점과 6.9리바운드(리그 7위)를 기록했다.[7] 그러나 시즌 중반에 프랑스로 떠났다.[7]
그 후, 프랑스 팀 LNB 프로 A 리그의 디종과 스트라스부르에서 2010년까지 뛰었다.[8] 디종에서는 유로컵에서 1경기 출전, 18득점을 기록했고, 스트라스부르에서는 유로챌린지에 출전, 6경기에서 평균 17.8득점과 8.3리바운드를 기록했다.[8]
2010년, 안양 KGC와 계약하며 KBL 무대에 데뷔했다.[8]
2011년 8월, 라드니키 크라구예바츠와 1년 계약을 체결했다.[9] 아드리아틱 리그 MVP와 리그 득점왕을 차지하며 경기당 평균 19.4득점과 6.5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012년 6월 11일, 아스타나와 안드레아스 글리니아다키스와 함께 1년 계약을 체결했다.[10] 2013년 4월, 계약을 1년 더 연장했다.[11]
3. 1. 한국 프로 농구 (KBL)
데이비드 사이먼은 2010년 안양 KGC와 계약하며 KBL에 합류하여 첫 올스타에 선정되었다.[8] 2014년에는 원주 DB 프로미 소속으로 두 번째 KBL 올스타에 선정되었고 팀을 챔피언 결정전으로 이끌었다.[12] 2015-2016 시즌에는 서울 SK 나이츠 소속으로 올스타에 선정, 평균 20.5득점과 9리바운드를 기록했다.[12]
2016년 안양 KGC로 복귀, 팀의 2016-2017 KBL 시즌 정규 시즌 우승과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이끌었다.[12] 2017-2018 시즌에는 KBL 득점왕을 차지하며 평균 26.1득점, 10.8리바운드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8년 KBL이 외국인 선수 신장 제한 규정(200cm)을 시행하면서 팀에서 방출되었다.[12] 이 규정은 리그 관중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였으나, 리그 경쟁력 약화 및 팬들의 불만을 초래하며 많은 비판을 받았다.
3. 2. 필리핀 프로 농구 (PBA)
2016년, 사이먼은 트로팡 TNT 소속으로 아이반 존슨을 대신하여 PBA에서 뛰었으며, 평균 24.5득점과 15.5리바운드를 기록했다.[12]
3. 3. 일본 프로 농구 (B.리그)
데이비드 사이먼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일본 B.리그의 교토 한나리즈에서 4시즌 동안 활약하며 매 시즌 득점 상위 5위 안에 드는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12] 2023년 3월에는 B2 리그의 도쿄 Z와 계약했다.[12] 2023년 10월, 사이먼은 B.리그의 신슈 브레이브 워리어스와 계약을 체결하며 일본 무대에서의 활약을 이어가게 되었다.[12]
3. 4. 유럽 리그 통산 기록
wikitext
GP | 경기 | GS | 선발 출장 | MPG | 경기당 시간 |
FG% | 야투 성공률 | 3P% | 3점슛 성공률 | FT% | 자유투 성공률 |
RPG | 리바운드 | APG | 어시스트 | SPG | 스틸 |
BPG | 블록 | PPG | 경기당 득점 | PIR | PER |
굵게 | 개인 최고 기록 |
==== 아드리아틱 리그 ====
2011-2012 시즌 라드니키 크라구예바츠 소속으로 아드리아틱 리그 MVP 및 득점왕을 차지했다. 평균 19.4득점, 6.5리바운드를 기록했다.
연도 | 팀 | 경기 | 선발 경기 | 경기당 시간 | 야투율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 경기당 어시스트 | 경기당 스틸 | 경기당 블록 | 경기당 득점 | 성과 지수 평점 |
---|---|---|---|---|---|---|---|---|---|---|---|---|---|
2011–12 | 라드니키 | 26 | 26 | 29.2 | .637 | .300 | .575 | 6.5 | 1.2 | 1.0 | 1.4 | 19.4 | 22.3 |
통산 | 26 | 26 | 29.2 | .637 | .300 | .575 | 6.5 | 1.2 | 1.0 | 1.4 | 19.4 | 22.3 |
3. 4. 1. 아드리아틱 리그
2011-2012 시즌 라드니키 크라구예바츠 소속으로 아드리아틱 리그 MVP 및 득점왕을 차지했다. 평균 19.4득점, 6.5리바운드를 기록했다.연도 | 팀 | 경기 | 선발 경기 | 경기당 시간 | 야투율 | 3점슛 성공률 | 자유투 성공률 | 경기당 리바운드 | 경기당 어시스트 | 경기당 스틸 | 경기당 블록 | 경기당 득점 | 성과 지수 평점 |
---|---|---|---|---|---|---|---|---|---|---|---|---|---|
2011–12 | 라드니키 | 26 | 26 | 29.2 | .637 | .300 | .575 | 6.5 | 1.2 | 1.0 | 1.4 | 19.4 | 22.3 |
통산 | 26 | 26 | 29.2 | .637 | .300 | .575 | 6.5 | 1.2 | 1.0 | 1.4 | 19.4 | 22.3 |
참조
[1]
웹사이트
David Joseph Simon - Player Profile
https://www.fiba.bas[...]
2024-06-15
[2]
웹사이트
Does Simon Have One More Surprise Left?
http://www.netsdaily[...]
2005-09-25
[3]
웹사이트
David Simon
https://www.espn.com[...]
2012-06-05
[4]
웹사이트
David Simon in LukOil Academic
http://www.24sec.net[...]
[5]
웹사이트
David Simon: "I needed game like this one,to show I can play well
http://bgbasket.com/[...]
[6]
웹사이트
David Joseph Simon
http://en.basketball[...]
[7]
웹사이트
Summary - Russian Super League - Season 2006-07
http://en.basketball[...]
[8]
웹사이트
David Joseph Simon Player Profile (2009-2010)
http://en.basketball[...]
[9]
뉴스
Radnicki adds size with David Simon
http://www.sportando[...]
sportando.net
[10]
웹사이트
BC Astana land David Simon and Andreas Glyniadakis
http://www.sportando[...]
2012-06-18
[11]
웹사이트
BC Astana keeps Brion Rush and David Simon
http://www.sportando[...]
2014-07-14
[12]
뉴스
Tropang TNT finds new import in 33-year-old journeyman David Simon
http://www.spin.ph/b[...]
2016-0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